카테고리 없음 / / 2023. 3. 29. 14:16

대표적인 안과 망막질환 (황반변성, 망막박리, 당뇨망막병증)

망막은 빛을 감지하고 시각 정보를 처리해서 뇌로 전달하는 눈의 뒤쪽을 감싸는 조직층입니다. 대표적인 안과 망막질환인 황반변성, 망막박리, 당뇨망막병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황반변성

황반변성은 선명한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일부인 황바네 영향을 미치는 진행성 망막질환입니다. 50세 이상에서 시력상실의 주요 원인으로 황반변성에는 건성과 습성의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습성보다는 더 흔한 건성 황반변성은 황반의 빛에 민감한 세포가 조금씩 파괴됨에 따라 중심시력이 조금씩 서서히 나빠지게 됩니다. 반면에 습성 황반변성은 망막 아래 비정상적인 혈관의 성장으로 인해 체액이 누출되어 급격하고 심각한 시력 상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황반변성의 증상으로는 시야가 흐리고 왜곡되게 보이며,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고 시야 중앙이 어둡거나 구멍이 난 것처럼 보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색상 인식의 변화를 경함 할 수도 있습니다. 황반 변성의 치료는 질병의 유형과 중증도에 따라 다릅니다. 건성 황반 변성의 경우 치료법은 없지만 건강한 식단 섭취하고 규칙적인 운동, 금연과 같은 생활 습관 변화로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된 보충제도 도움이 됩니다. 습성 황반 변성의 경우 치료에는 비정상적인 혈관의 성장을 멈추기 위해 눈에 약물을 주사하거나 비정상적인 혈관을 파괴하는 레이저 요법 또는 이 두 가지를 병행하는 방법이 포함됩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는 더 이상의 시력 손실을 예방하고 남은 시력을 보존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력에 변화가 생기면 가능한 한 빨리 전문의의 진료를 받고 무엇보다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게 좋습니다.

 

 

망막박리

망막 박리는 안구 뒤쪽을 감싸고 있는 얇은 조직층인 망막이 그 아래에 있는 지지 조직층에서 분리될 때 발생합니다. 이것은 시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망막 박리는 종종 망막의 눈물이 나 구멍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망막과 지지 조직 사이에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망막이 분리되어 시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망막 박리의 증상으로는 부유물(시야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작은 점이나 선)의 갑작스러운 또는 점진적 출현, 빛이 반짝하거나, 시야 일부분에 커튼이 쳐진 것 같은 그림자가 생기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망막 박리 치료는 일반적으로 망막을 기저 지지 조직에 재부 착한 수술을 포함합니다. 박리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시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술 절차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레이저 요법이나 냉동 요법(동결 요법)을 사용하여 망막을 다시 부착할 수도 있습니다. 망막 박리의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시력 보존에 중요하기 때문에 망막 박리 증상이 나타나면 가능한 한 빨리 안과 의사를 만나 포괄적인 안과 검사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눈의 망막에 있는 혈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당뇨병의 흔한 합병증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혈당 수치는 망막의 작은 혈관을 손상시켜 혈관이 새거나 막힐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에는 비증식성과 증식성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비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질병의 초기 단계이며 망막의 작은 부종이나 출혈이 특징입니다. 증식성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보다 진행된 질병 단계이며, 망막에서 새로운 혈관의 성장을 특징으로 합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증상으로는 흐릿하거나 왜곡된 시야, 야간 시력 장애, 시야에 떠다니는 물체나 검은 반점이 나타납니다. 그러나 질병의 초기 단계에는 눈에 띄는 증상이 없을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치료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다르고 망막 손상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혈당 수치 조절, 건강한 식단 섭취,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생활 방식의 변화가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 진행된 경우 레이저 치료가 권장되는 경우가 많은데 광응고라고 하는 이 치료법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망막에서 새는 혈관을 막고 비정상적인 혈관의 성장을 중지시킵니다. 또 다른 치료로는 염증을 줄이고 망막의 새로운 혈관 성장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을 안구 내 주사하는 것입니다. 이 약물은 눈에 직접 주사되며 몇 달에 걸쳐 여러 번 반복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영구적인 시력 상실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눈 검사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발병 위험이 높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